[일본] SNS의 급격한 보급이 왕따 문제를 악화시켜
일본 탐정업계에 따르면 라인,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의 급격한 보급이 왕따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친구들과 쉽게 연락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톡을 통해 괴롭힘을 당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일본 왕따 전문 탐정이 소개하는 SNS 피해 사례와 행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인과 같은 메시지 공유 서비스에 의한 괴롭힘이다. 대화 상대방에게 "홍길동 꺼져라" 등의 욕설을 보내는 것은 약과다. 그룹 채팅에서 제외하거나 공개적으로 모욕을 주는 것도 포함된다.
SNS에 따라 자신이 쓴 글을 지울 수도 있기 때문에 증거도 남지 않는다. 상대방의 이름을 적시하지는 않지만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지정해 욕을 하는 행위도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둘째,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가 왕따 행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가해자가 오히려 자작극을 벌여 자신이 왕따 피해자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증거를 인멸하거나 알리바이를 조작하는 행위도 일어난다.
똑똑한 가해자가 왕따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왕따의 증거를 철저하게 모아야 입증할 수 있다. 광범위한 증거를 수집해 절대로 부인하지 못하는 상황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폭력을 행사하겠다며 위협하거나 금전을 요구하는 왕따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과거에는 중학생 이상에서 발생하는 왕따였지만 최근에는 초등학생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돈을 언제까지 준비하라", "물건을 훔쳐와라" 등이 대표적이다. 돈을 빌리고서 갚지 않는다거나 함께 음식을 먹고 음식값을 혼자만 내게하는 것도 왕따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증거를 남기지 않을 정도로 교묘한 왕따도 일어나기 때문에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다. 집단적으로 무시하거나 물건을 숨기는 행위는 왕따로 입증하기 어렵다.
가정환경이나 행동에 대한 나쁜 소문을 퍼트리거나 본인이 듣기 싫어하는 별명을 억지로 부르는 행위도 관심이라고 변명한다. 대상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서서히 가하기 때문에 오히려 회복이 어려운 유형이다.
SNS가 학생들의 왕따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금지시킬 수 없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학교 일선에서 근무하는 교사들과 교육부 등 관계자들이 현명한 대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도 일본과 별반 차이가 없어 걱정스럽다.
♦ 정부의 이지메 근절 홍보자료(출처 : 정부 홈페이지)
한국에서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톡을 통해 괴롭힘을 당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일본 왕따 전문 탐정이 소개하는 SNS 피해 사례와 행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인과 같은 메시지 공유 서비스에 의한 괴롭힘이다. 대화 상대방에게 "홍길동 꺼져라" 등의 욕설을 보내는 것은 약과다. 그룹 채팅에서 제외하거나 공개적으로 모욕을 주는 것도 포함된다.
SNS에 따라 자신이 쓴 글을 지울 수도 있기 때문에 증거도 남지 않는다. 상대방의 이름을 적시하지는 않지만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지정해 욕을 하는 행위도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둘째,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가 왕따 행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가해자가 오히려 자작극을 벌여 자신이 왕따 피해자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증거를 인멸하거나 알리바이를 조작하는 행위도 일어난다.
똑똑한 가해자가 왕따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왕따의 증거를 철저하게 모아야 입증할 수 있다. 광범위한 증거를 수집해 절대로 부인하지 못하는 상황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폭력을 행사하겠다며 위협하거나 금전을 요구하는 왕따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과거에는 중학생 이상에서 발생하는 왕따였지만 최근에는 초등학생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돈을 언제까지 준비하라", "물건을 훔쳐와라" 등이 대표적이다. 돈을 빌리고서 갚지 않는다거나 함께 음식을 먹고 음식값을 혼자만 내게하는 것도 왕따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증거를 남기지 않을 정도로 교묘한 왕따도 일어나기 때문에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다. 집단적으로 무시하거나 물건을 숨기는 행위는 왕따로 입증하기 어렵다.
가정환경이나 행동에 대한 나쁜 소문을 퍼트리거나 본인이 듣기 싫어하는 별명을 억지로 부르는 행위도 관심이라고 변명한다. 대상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서서히 가하기 때문에 오히려 회복이 어려운 유형이다.
SNS가 학생들의 왕따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금지시킬 수 없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학교 일선에서 근무하는 교사들과 교육부 등 관계자들이 현명한 대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도 일본과 별반 차이가 없어 걱정스럽다.
♦ 정부의 이지메 근절 홍보자료(출처 : 정부 홈페이지)
저작권자 © 탐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